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안내 후 로그인 유지 시간이 만료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인 유지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다시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작성하신 청원내용은 복사해서 다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개청원 보기

  • 접수
  • 의견수렴 중
  • 현재 진행중인 단계처리 중
  • 종결
여성가족부 폐지
처리기관: 여성가족부 기획조정실 혁신행정담당관

🔹 1. 역차별에 대한 인식

일부 남성들은 여가부가 여성만을 위한 정책에 집중하고 있으며, 남성은 사회적 약자로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낍니다.

예: 여성 전용 정책,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지원금, 채용 가산점 등에 대해 불공정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군 복무와 관련해 “남성의 희생은 당연시되고, 여성의 권리만 보장된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 2. 여가부가 남성을 배제한다는 불신

여가부가 **남성 피해자 문제(가정폭력, 성폭력, 학대 등)**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예: 남성 성폭력 피해자 보호 정책의 미비, 이혼 후 아버지의 양육권 문제 등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남성들이 많습니다.

이에 따라 여가부가 “성평등”이 아닌 “여성 이익만 대변”한다는 인식이 퍼져 있습니다.

🔹 3. 2030 세대 남성들의 정치적 반감

특히 20~30대 남성층에서는 여가부를 페미니즘과 동일시하거나, “편향된 젠더 정책의 상징”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나 유튜브 등을 통해 여가부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면서 정치적 결집 효과도 나타났습니다.

🔹 4. 정책 효과에 대한 회의

여가부가 운영해온 수많은 성평등·가족·청소년 관련 정책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세금만 낭비하고 있다”는 주장과 함께 부처 자체의 실효성에 대한 회의가 커지고 있습니다.

🔹 5. 젠더 갈등 심화의 중심에 있다는 인식

여가부가 성별 갈등을 해소하기보다 오히려 조장한다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예: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여가부는 갈등을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식의 반감이 공유되며, 반페미 정서와 연결되고 있습니다.

🔸 종합 요약

많은 남성들이 여가부를 "공정하지 못한 부처", "편향된 정책의 상징", "남성 문제를 외면하는 기관"으로 인식하면서 폐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군 복무 의무, 채용 불균형, 역차별 이슈 등이 민감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젠더 갈등의 상징처럼 여가부가 자리 잡은 것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의견 수렴 기간 : 2025.06.03.~2025.07.02.

의견 제출 방법 : 댓글

의견이 총 574건 있습니다.
  • 안○○ 2025.06.15. 00:25
    동의합니다
  • ○○○ 2025.06.14. 23:40 비공개 의견입니다.
  • ○○○ 2025.06.14. 23:03 비공개 의견입니다.
  • 김○○ 2025.06.14. 22:06
    동의합니다 최소 양성평등청소년부 평등가족부로 명칭이 바뀌는 성의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갈라치기를 확산시킨 주범이 어떻게 정부부처로 존재하는지 의문입니
    동의합니다 최소 양성평등청소년부 평등가족부로 명칭이 바뀌는 성의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갈라치기를 확산시킨 주범이 어떻게 정부부처로 존재하는지 의문입니다.
  • 이○○ 2025.06.14. 21:14
    동의합니다
  • 정○○ 2025.06.14. 18:28
    인정 동의
  • 이○○ 2025.06.14. 17:52
    동의합니다.
  • 문○○ 2025.06.14. 15:51
    폐지에동의합니다
  • ○○○ 2025.06.14. 13:26 비공개 의견입니다.
  • 천○○ 2025.06.14. 12:45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