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안내 후 로그인 유지 시간이 만료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인 유지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다시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작성하신 청원내용은 복사해서 다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개청원 보기

  • 접수
  • 의견수렴 중
  • 현재 진행중인 단계처리 중
  • 종결
여성가족부 폐지
처리기관: 여성가족부 기획조정실 혁신행정담당관

🔹 1. 역차별에 대한 인식

일부 남성들은 여가부가 여성만을 위한 정책에 집중하고 있으며, 남성은 사회적 약자로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낍니다.

예: 여성 전용 정책,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지원금, 채용 가산점 등에 대해 불공정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군 복무와 관련해 “남성의 희생은 당연시되고, 여성의 권리만 보장된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 2. 여가부가 남성을 배제한다는 불신

여가부가 **남성 피해자 문제(가정폭력, 성폭력, 학대 등)**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예: 남성 성폭력 피해자 보호 정책의 미비, 이혼 후 아버지의 양육권 문제 등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남성들이 많습니다.

이에 따라 여가부가 “성평등”이 아닌 “여성 이익만 대변”한다는 인식이 퍼져 있습니다.

🔹 3. 2030 세대 남성들의 정치적 반감

특히 20~30대 남성층에서는 여가부를 페미니즘과 동일시하거나, “편향된 젠더 정책의 상징”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나 유튜브 등을 통해 여가부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면서 정치적 결집 효과도 나타났습니다.

🔹 4. 정책 효과에 대한 회의

여가부가 운영해온 수많은 성평등·가족·청소년 관련 정책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세금만 낭비하고 있다”는 주장과 함께 부처 자체의 실효성에 대한 회의가 커지고 있습니다.

🔹 5. 젠더 갈등 심화의 중심에 있다는 인식

여가부가 성별 갈등을 해소하기보다 오히려 조장한다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예: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여가부는 갈등을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식의 반감이 공유되며, 반페미 정서와 연결되고 있습니다.

🔸 종합 요약

많은 남성들이 여가부를 "공정하지 못한 부처", "편향된 정책의 상징", "남성 문제를 외면하는 기관"으로 인식하면서 폐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군 복무 의무, 채용 불균형, 역차별 이슈 등이 민감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젠더 갈등의 상징처럼 여가부가 자리 잡은 것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의견 수렴 기간 : 2025.06.03.~2025.07.02.

의견 제출 방법 : 댓글

의견이 총 574건 있습니다.
  • 박○○ 2025.06.10. 12:53
    동의합니다
  • 박○○ 2025.06.10. 12:37
    동의합니다. 저는 올해 20살이 된 여성이지만
    여성가족부가 관여했던 청소년 성교육에 대해 미흡함을 많이 느꼈고
    여성 기업 지원 등 성인
    동의합니다. 저는 올해 20살이 된 여성이지만
    여성가족부가 관여했던 청소년 성교육에 대해 미흡함을 많이 느꼈고
    여성 기업 지원 등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정책에 관해서도 역차별적 문제가 있다 판단했습니다.
    아동 생리대 지원, 성범죄자 신상고지 등의 좋은 정책 사안은
    보건복지부나 아동복지부 등의 타 부서가 충분히 관할할 수 있는 일이며
    여성가족부가 지금보다 더 좋은 정책을 시행하고 완전히 탈바꿈하지 않는 이상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식은 개선되지 못할 것입니다.
  • ○○○ 2025.06.10. 12:35 비공개 의견입니다.
  • 김○○ 2025.06.10. 12:04
    동의합니다
  • 유○○ 2025.06.10. 11:25
    동의합니다
  • 조○○ 2025.06.10. 11:22
    동의합니다
  • ○○○ 2025.06.10. 11:22 비공개 의견입니다.
  • 김○○ 2025.06.10. 11:19
    동의합니다
  • ○○○ 2025.06.10. 11:16 비공개 의견입니다.
  • 김○○ 2025.06.10. 11:01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