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안내 후 로그인 유지 시간이 만료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인 유지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다시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작성하신 청원내용은 복사해서 다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개청원 보기

  • 접수
  • 현재 진행중인 단계의견수렴 중
  • 처리 중
  • 종결
금감원의 품질인증부품 강제 도입 반대합니다 소비자의 선택권을 지켜주세요
처리기관: 금융감독원 보험감독국

안녕하십니까 저는 평범한 자동차를 소유한 국민 중 한 사람으로, 최근 금융감독원이 추진 중인 '품질인증부품'의 자동차 보험

수리 강제 적용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이 청원을 올립니다

금감원은 수리비 절감과 보험료 인하를 명분으로, 자동차 보험 수리 시 '품질인증부품(이른바 대체부품)' 사용을 표준약관에 강제 반영하려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합니다

1. 소비자의 선택권 침해 

현재 소비자는 보험 수리 시 순정부품을 사용할지, 인증 부품을 사용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개정이 강행되면 소비자는 원치 않는 부품을 강제로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2. 실제 안전성과 품질 불확실성

'품질인증'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실제로는 제조사 보증도, 성능 안정성도 순정부품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2017년에 그랜저 IG 차 한대만으로 OEM 부품과 품질인증부품을 사용해서 비교 실험한 것 자체에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사고 수리 후 차량가치 하락이나 안전성 저하 가능성, 차의 형상과 재질에 따라 정해지는 고유 진동수가 달라서

제조사에서  만든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부품의 작은 차이 하나만으로 소음이 지속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자동차 가치 하락 및 중고차 거래 불이익

인증부품 수리는 중고차 거래 시 차량 가치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른 손해는 모두 소비자가 감수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4. 수리업계 대혼란

대체 부품의 사용이 강제되면, 정비업체들도 공급 안정성 문제, 책임소재 불분명 등의 이유로

수리 품질에 대한 우려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과의 충분한 논의 없이 어느 한 쪽의 얘기만 듣고 정책을 강행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보험료 인하나 수리비 절감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그 전제는 소비자의 안전과 권리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국민이 원하지 않는 부품을 강제로 쓰게 만드는 조치는 결코 바람직한 방향이 아닙니다

정부와 금융감독원은 소비자와 정비업계, 제조사 등의 충분한 의견을 수렴한 뒤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이 청원에 많은 관심과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의견 수렴 기간 : 2025.07.18.~2025.08.18.

의견 제출 방법 : 댓글

의견등록

의견이 총 4324건 있습니다.
  • 남○○ 2025.07.21. 20:10
    동의합니다.
    정품을 사용하여 수리를 하여야, 원상복구가 되는데, 대체품을 사용하면 원상복구라는 개념이 맞는 겁니까?
  • ○○○ 2025.07.21. 20:10 비공개 의견입니다.
  • 민○○ 2025.07.21. 20:03
    동의합니다
  • 이○○ 2025.07.21. 19:51
    동의합니다
  • 박○○ 2025.07.21. 19:48
    동의합니다
  • 이○○ 2025.07.21. 19:47
    동의합니다
    각 차량마다 순정부품을 꼭 사용해야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인증부품을 강제하는건 안됩니다
  • 김○○ 2025.07.21. 19:47
    소비자에게 불리한 약관 개정 반대합니다.
    제조사 순정부품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대체 부품 사용을 강제하여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하는 잘못된 약
    소비자에게 불리한 약관 개정 반대합니다.
    제조사 순정부품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대체 부품 사용을 강제하여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하는 잘못된 약관입니다.
    제조사 순정부품을 기본 선택으로 하고, 대체 부품 사용 시 보험료에서 인센티브를 주는 방향으로 추진해야한다 생각합니다.
  • ○○○ 2025.07.21. 19:45 비공개 의견입니다.
  • 우○○ 2025.07.21. 19:31
    동의합니다
  • 전○○ 2025.07.21. 19:31
    소비자를 우롱하는 이런 파렴치하고 어이없는 기만행태를 보고만 있으시지는 않겠죠?
    돈이되니 아직까지도 보험사가 있는걸텐데 돈 더벌자고 제조사 인
    소비자를 우롱하는 이런 파렴치하고 어이없는 기만행태를 보고만 있으시지는 않겠죠?
    돈이되니 아직까지도 보험사가 있는걸텐데 돈 더벌자고 제조사 인증없는 저렴한 카피제품들로 국민들을 불편과 위험에 노출시키지 말아주세요